01. 환율의 개요
1. 환율이란?
(1) 자국통화와 외국통화의 교환비율(= 각 나라별 돈의 가치를 비율로 나타낸 것)
(2)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
2. 환율의 고시
(1) 두 통화를 기준통화와 상대통화로 구분하여 한 쌍으로 고시
기준통화(고시통화, fixed)/ 상대통화(피고시통화, variable) = 환율
(2) 예를 들어 미 달러가 기준통화이고, 한국 원화가 상대 통화일 때 USD/KRW=1,300으로 표시
(3) 어떤 통화를 기준으로 삼는지에 따라 표시방법이 구분
(4) Pip, Big Figure의 구분
Pip(Percentage in point) | 환율이 변화하는 최소단위를 지칭(=자주 변하는 단위, 환율의 맨 오른쪽 마지막 숫자로 표시) 일반적으로 소수점 아래 넷째자리 숫자가 1pip이 되나, 원화나 엔화의 경우 소수점 아래 둘째자리 숫자를 지칭 예) EUR/USD = 1.1780일 때, 1pip은 0을 말함 |
Big Figure | 두 자리 pip 이상에 해당되는 수로, 자주 변하지 않는 숫자를 말함 환율의 마지막 두 자리 숫자를 제외한 앞자리 숫자로 표시 예) USD/JPY = 121.30일 때, Big Figure은 121 |
02. 환율 표시방법
1. 자국통화 표시법 vs 외국통화 표시법
자국통화 표시법 (외국통화/ 자국통화) |
외국통화 1단위당 얼마의 자국통화와 교환해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방법(=직접 표시법) 예) USD/KRW = 1,300 |
외국통화 표시법 (자국통화/ 외국통화) |
간접 표시법 예) 영국이나 유로존의 경우 EUR/USD = 1.1200 |
2. 유럽식 표시법 vs 미국식 표시법
유럽식 표시법 (미국통화/ 기타통화) |
미국통화를 기준으로 미 달러화 1단위당 교환되는 상대통화의 단위량을 표시 국제외환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예) USD/JPY = 100.35 |
미국식 표시법 (기타통화/ 미국통화) |
특정 통화를 기준으로 다른통화 1단위당 교환되는 미국통화의 단위량 표시 영국 파운드, 호주달러, 뉴질랜드 달로 등 통화와 유로화에 사용 예) GBP/USD = 1.16100, EUR/USD = 1.1200 |
03. 환율의 종류
1. 매입환율(Bid Rate)과 매도환율(Offer Rate)
- 매입환율(고객이 팔때)
가격 제시자인 은행이 상대방으로부터 기준통화를 매입할 의사가 있는 가격을 말하는 것
가격 추종자인 고객은 이 가격에 기준통화를 은행에 매도
- 매도환율(고객이 살때)
은행이 상대방에게 기준통화를 매도할 의사가 있는 가격을 말하는 것으로
고객은 이 가격에 기준통화를 은행으로부터 매입
(1) 은행은 "매입환율-매도환율"의 형태로 동시에 고시하는데, 이 방법을 Two-way Quotation이라 함
(2) USD/KRW = 1,085.20-1,085.40으로 고시했을 때 해석하는 방법(예시)
-은행이 1달러당 1,085.20원에 매입, 1달러당 1,085.40원에 매도할 의사가 있음
-수출기업이 수출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매도할 경우 -> 매입환율 적용(고객이 팔때)
-수입기업이 수입대금 결제를 위해 달러를 매입할 경우-> 매도환율 적용(고객이 살때)
(3) 스프레드(Spread)
-매입환율과 매도환율간 차이를 말하며, 은행에게는 수입원천이 되지만 고객에게는 거래비용임
-거래빈도가 높은 통화는 스프레드가 작고, 빈도가 낮은 통화는 스프레드가 큼
-외화 시세가 불안정하면 스프레드가 크고, 안정적이면 작아짐
-일반적으로 선물환율의 스프레드는 현물환율의 것보다 크며, 선물환율의 만기가 길어질 수록 점점 커짐
-현찰 매매율의 스프레드는 전신환 매매율의 스프레드에 비해 큰 편
2. 현물환율(Spot Exchange Rate)과 선물환율(Forward Exchange Rate)
외국환 매매계약 후 결제가 언제 이루어지는지(결제일_Value Date)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
- 현물환율
제 2영업일 이내(Spot Value Date)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외환거래에 적용
-당일물 환율(Value Today Date): 계약체결 당일 결제
-익일물 환율(Value Tomorrow Rate): 계약 체결 명일 결제
-스팟일물 환율(Value Spot Rate): 계약 체결일로부터 제 2 영업일 후 결제
현물환율은 모든 종류의 환율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환율이며, 흔히 환율이라고 말할 때는 일반적으로 스팟일물환율을 지칭
- 선물환율
제 2영업일(Spot Value Date)을 초과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외환거래에 적용
결제일에 따라 1개월물, 3개월물, 6개월물 등으로 구분
3. 재정환율(Arbitrated Rate)과 크로스 환율(Cross Rate)
- 재정환율
제 3국 통화와 자국통화 간 환율을 지칭
기축통화인 미 달러화와의 교환비율을 기초로 산출
원화의 대미 달러환율을 제3국 통화의 대미 달러환율로 재정하여 간접 산출
[사례1] 유럽식 표시법의 상대통화와 한국 원화와의 재정환율을 산정하는 경우
: 달러/원 환율을 달러/상대통화 환율로 나누어 산출
USD/KRW = 1,100
USD/JPY =110
이 경우에 100JPY/KRW환율은?
100JPY/KRW= {(달러/원 환율)/(달러/엔 환율)}*100
= (1,100/110)*100
= 1,000
[사례2] 미국식 표시법의 기준통화와 한국 원화와의 재정환율을 산출하는 경우
: 달러/원 환율에 기준통화/달러 환율을 곱하여 산출
USD/KRW = 1,400
EUR/USD = 1.2000
이 경우에 EUR/KRW 환율은?
EUR/KRW = (달러/원 환율)*(유로/달러 환율)
= 1,400*1.2000
= 1,680
- 크로스 환율
재정환율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 자국통화가 개입되지 않은 제3국 통화와 미 달러화 간 환율
04. 환율의 변동
1. 의의
환율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,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변동하게 되면 환율도 변동함
2. 환율의 상승
(1) 기준통화에 대한 상대통화의 교환비율이 올라가는 현상: 상대통화의 가치가 하락
(2) 원/달러 환율 상승 요인
무역수지 적자 | 해외로 빠져나간 달러가 국내에 유입된 달러보다 많다는 의미이므로 달러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져서 환율이 상승 |
외국인 투자자의 주식 순매도 | 원화를 매도하고 달러를 매입하게 되므로 시장에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여 환율 상승 |
유럽국가들의 재정위기 |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환율 상승 |
우리나라의 금리 인하 | 우리나라의 투자자들이 높은 이자수익을 얻기 위해 외국 채권, 예금 등에 투자함으로써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여 환율이 상승함 물가하락_디플레이션은 금리 인하의 요인으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남 |
미국의 양적완화 축소, 종료 | 달러의 통화량이 감소하여 달러가치가 상승하고 반대로 원화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나타남 |
3. 환율의 하락
(1) 기준통화에 대한 상대통화의 교환비율이 내려가는 현상: 상대통화의 가치 상승
(2) 원/달러 환율 하락 요인: 위와 반대
4.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
(1) 상승 영향
- 수출기업의 매출 증가, 수입기업의 수입액 감소
- 수입원자재의 비중이 높은 기업의 경우, 제조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해외 수출경쟁력 약화
- 외화차입기업의 경우 외화로 표시한 대외채무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증가하여 해당 기업의 채산성 악화요인으로 작용
- 수출기업의 경우 기계약에 대해 환율이 상승할 경우 환차익이 발생하여 유리한 입장이 되지만
수입기업의 경우 환차손에 직면하여 불리한 입장에 처함
- 외국인투자자의 경우 환율 상승으로 원화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환차손에 직면
(2) 하락 영향: 위와 반대
05. 우리나라 환율 구조
1. 우리나라 환율 제도
우리나라는 현재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선택 중
2. 매매기준율
고객-외국환은행, 외국환은행-외국환은행간 거래에 기준이 되는 환율
3. 외국환은행 간 매매율
자유롭게 형성
4. 외국환은행 대고객매매율
외국환은행장은 당일의 매매기준율과 외국환 은행간 매매율을 감안하여 대고객 매매율을 정함
'무역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외환시장 및 외환거래 (0) | 2023.12.12 |
---|---|
신용장 결제 방식(3): 서류 심사 및 은행의 면책 (2) | 2023.12.11 |
신용장 결제방식(2): 신용장의 종류와 심사기준 (0) | 2023.10.03 |
신용장결제방식(1): 개요 및 기본용어 (0) | 2023.09.20 |
무역보험제도 (0) | 2023.09.17 |